EV3를 구매 시 누구나 신청가능한 보조금에는 국고 보조금과 지방자치단체 보조금이 있습니다. 국고 보조금은 전기차 보급 정책의 일환으로 환경부에서 지원 및 지급하며 지자체 보조금은 지역별로 예산에 따라 차등 지급된다고 합니다.
국고보조금 및 지역보조금에 더해 추가로 받을 수 있는 혜택으로는 기업 및 개인 사업자에게 주어지는 세제 혜택과 충전 인프라 구축 지원이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실질적인 구매 비용을 낮출 수 있습니다.
📌목차
3. 2025년 EV3 VS 아이오닉9 vs 코나 vs 니로EV 보조금 비교
1. 2025년 EV3보조금, 최대 지원 금액은? (국고보조금 및 지자체 보조금)
기아의 세번째 전기차인 EV3 국고보조금에 대한 관심이 연일 뜨겁습니다. 환경부의 무공해차 통합 누리집 자료에 따르면
EV3의 국고보조금은 ‘스탠다드 2WD’ 479만 원, ‘롱레인지 2WD 17인치 및 19인치’ 565만 원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EV3 국고보조금 |
EV3 스탠다드 2WD | 479만원 |
EV3 롱레인지 2WD 17인치 | 565만원 | |
EV3 롱레인지 2WD 19인치 | 565만원 |
보조금을 적용한 신차 기준 가격은 스탠다드는 3,290만 원부터, 롱레인지는 3,650만원 부터이며 지역별 보조금이 높은 일부 지역에서는 더욱 저렴하게 차량을 구매할 수 있다고 합니다. 보조금이 높은 경북 울릉군에서는 스탠다드 2453만원, 롱레인지 2719만원선에서 EV3구매가 가능합니다.
출처: 환경부 무공해차 통합누리집
서울시를 기준으로 할 경우 지자체 보조금을 포함하게 되면 스탠다드 705만 원, 롱레인지 765만원의 혜택을 받을 수 있는데요. 추가 옵션 없이 국고 및 지역보조금을 모두 더하면 스탠다드 3290만원, 롱레인지 3650만원에 구매할 수 있습니다.
2. 2025년 EV3 보조금 신청절차
EV3 보조금 신청절차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구매자가 차량구매대금과 보조금의 차액을 자동차 제조 수입사에 납부
✔ 자동차 제조 수입사는 지방자치단체(국비보조금+ 지방비보조금)로부터 보조금 수령
EV3 보조금을 신청하기 위해서는 먼저 차량을 계약한 후 환경부 전기차 통합 누리집을 통해 온라인 신청을 진행해야 하는데요. 신청 시에는 차량 계약서, 주민등록등본, 차량 구매 보조금 신청서 등이 필요하며, 지자체별로 추가 서류를 요구할 수도 있습니다.
3. EV3 VS 아이오닉9, 코나, 니로EV 보조금 비교
EV3의 경쟁 모델인 코나와 니로EV를 비교해보면 코나는 시작 가격이 3,630만 원(코나 일렉트릭 스탠다드) / 3,773만 원(코나 일렉트릭 롱레인지) 부터 니로 EV는 4,126만 원(니로 EV)으로 EV3가 훨씬 저렴하게 출시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현대 아이오닉9와 기아 EV3는 보조금 책정 방식에서 차이를 보입니다. EV3는 비교적 작은 배터리 용량을 갖추고 있어 국고 보조금이 아이오닉9보다 높아 상대적으로 혜택이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아이오닉9 국고보조금
아이오닉9 성능형 AWD | 아이오닉9 항속형 2WD | 아이오닉9 항속형 AWD |
승차인원: 7인승 최고속도출력: 200km/h 국고보조금: 277만원 |
승차인원: 7인승 최고속도출력: 190km/h 국고보조금: 279만원 |
승차인원: 7인승 최고속도출력: 200km/h 국고보조금: 276만원 |
4. 보조금 지원 대상 및 지원 차량 조회하기
EV3 이외에도 무공해차 보조금을 지원받을 수 있는 차량은 매우 많습니다. 구매하고자 하는 차량이 무공해차 보조금 지급대상 차량인지 여부를 제일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무공해차 통합누리집'에서 차량모델을 조회해보는 것입니다.
무공해차 보조금 지급을 받을 수 있는 기준은 아래 규정 및 법을 충족하여야 한다고 합니다.
📌 첫째!
자동차관리법, 대기환경보전법, 소음 진동 관리법 등 관계법령에 따라 자동차와 관련된 각종 인증을 완료한 차여야 합니다.
📌 둘째!
전기자동차 보급대상 평가에 관한 규정에 따른 전기차의 평가항목 및 기준에 적합한 차량이어야 합니다.
하지만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일반인의 경우 관련법과 규정을 모두 알기란 어렵습니다. 따라서 간단하게 무공해차 통합누리집에서 검색을 통해 보조금 지급 대상 차량을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